청년 1억 통장, 청년도약계좌
오늘은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였던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만 34세로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매달 70만 원 한도 내에 금액을 저축하게 되면 정부에서 그 저축액에 월 최대 40만 원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그렇게 되면 여러분은 10년 만기 저축으로 1억 원의 목돈을 쥐어주게 되는 거죠,
청년도약계좌 대상 및 소득기준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이 있는 청년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연간 급여 상한 기준을 두지 않습니다.
1) 지원대상: 1987년~2003년 청년 (올해 기준 만 19~34세)
2) 지원대상 소득 기준: 소득 상관없이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이 있는 청년
다만, 소득 차이에 따라 정부의 혜택이 달라집니다.
연간 소득이 2400만 원 이하 경우 가입자는 매달 최대 30만 원 저축 가능하며, 정부가 40만 원을 지원해 총 70만 원 채우게 됩니다. 연 소득이 2400만 원 초과 3600만 원 미만인 경우 매달 최대 50만 원 저축 가능하며, 정부는 20만 원을 지원합니다.
연소득이 3600만 원 초과일 경우, 월 최대 60만 원 납입 가능하며, 정부에서 월 최대 10만 원을 지원해줍니다. 연소득이 4600만 원 이상일 경우 지원금 대신 소득공제 혜택을 받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이번해에 출시될까?
전 문재인 정부가 청년을 위해 청년 희망적금을 마련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청년 도약 계좌를 추가로 도입이 된다면 청년 희망 적금과 청년 도약 계좌 중복 가입이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현 정부가 어떤 방안을 내세울지, 희망적금에서 도약계좌로 전환하는 방법 같은 대책을 세울지 기다려봐야겠습니다.
현재 20~34세 취업자들은 약 600~700만 명 정도 되는데, 청년 희망 적금에 가입한 분만 290만 명이 넘은 상태라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가 말한 청년 도약 계좌가 만들어지게 된다면, 많은 청년들이 몰릴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리고 청년 도약 계좌 도입으로 인해 1년에 수조 원이 들어갈 것으로 보이며, 정부 재원 마련에 어려움도 겪게 된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이 정책에 대해 앞으로 어떻게 나올지는 좀 더 기다려봐야겠습니다.
오늘은 여기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추후에 청년도약계좌 관련 정보나 소식이 업데이트된다면 알려드리겠습니다.
<관련 포스팅>
우체국 신한 우정적금 및 가입 방법
우체국 신한 우정적금 오늘은 우체국 신한 우정적금과 가입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한카드에서 우정 사업본부와 함께 최고 연 8.95%의 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우체국 신한 우정적금'을
freelife95.com
마지막 코로나 생활지원금
코로나 생활지원금 오늘은 코로나 생활지원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 생활지원금이란 코로나에 확진되어 입원하거나 격리하게 되면 정부에서 생활지원금을 지급해주는 제도를
freelife95.com
'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신한 우정적금 및 가입 방법 (0) | 2022.05.22 |
---|---|
마지막 코로나 생활지원금 (0) | 2022.05.15 |
소상공인지원금, 600부터 최대 1000만원! (0) | 2022.05.13 |
마지막 재난지원금! 6차재난지원금 (0) | 2022.05.13 |
양도소득세 개정 (0) | 2022.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