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투압 측정법
삼투압 측정법은 검체의 삼투압 농도를 응고점 강하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어떤 용액에 대해 용질은 용매와 달리 자유롭게 통과하지 못합니다. 통과하지 못하는 반투막 사이에 두고 순용매를 넣게 되면 용매의 일부는 삼투합니다. 이 용매의 삼투에 의해 반투막 양쪽에 생기는 압력차가 삼투압입니다.
응고점 강하법에서 질량 삼투압 농도(질량 오스몰 농도, m)는 응고점 강하도 ∆T(℃)와 질량 삼투압 농도(m) 간의 관계식인 ∆T=k*m으로부터 구해질 수 있습니다. ∆T 응고점 강하법은 용매에 용질이 녹인 용액의 응고점이 강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얻게 되고, k는 몰 응고점 감하정수로 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1.86℃kg/mol입니다.
질량 삼투압 농도(m)은 이 삼투압 특정법에서는 보통 mOsm단위를 사용합니다.
[삼투압 시험 전]
측정할 검체 개수에 맞춰 시험일지를 준비하고 삼투압 시험일지에 검체명, 검체 번호, 시험 기준을 적고 시작합니다.
(1) 검체 시험 시작 전에 calibration을 시작합니다.
(2) 먼저 삼투압 커버(덮개)를 벗기고 전원을 켭니다.
(3) 검체의 예상되는 삼투압 농도에 따라 삼투압 농도 표준액을 사용해서 응고점을 측정하여 장치를 교정합니다.
예를 들면 측정하는 예상 검체의 삼투압 농도가 100 mOsm이하일 경우 2점 포인트를 잡습니다. 2점 교정 포인트를 잡아 물(0 mOsm), 표준품 100 mOsm을 쓸 수 있습니다.
3점 교정 포인트는 2가지 경우가 있는데, 물 0, 표준품 500 mOsm, 표준품 850 mOsm과 물 0, 표준품 300 mOsm, 표준품 500 mOsm 이 해당합니다.
만약 측정할 검체의 삼투압 기준이 750-800 사이라면 실제 측정값은 그 기준 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3점 포인트는 0, 500, 850 mOsmol이 가장 적합합니다.
[Calibration 및 SST]
(1) Calibration 할 때, 낮은 순서대로 0에서 850까지 표준품을 각각 교정합니다. (0-> 500 ->850)
(2) 교정한 다음 SST(System Suitability Testing, 시스템 적합성)을 진행하게 되는데, 시스템의 적합성이란 검체의 삼투압 농도에 가까운 농도의 표준액 1개를 가지고 6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시스템 적합성을 시험하는 것입니다. (SST는 시스템의 적합성으로 실제 샘플을 측정하기에 앞서 분석 시스템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증명합니다.)
그 검체의 농도가 750-800 사이라면 850에 가장 가까우니 표준품 850을 가지고 6회 반복 측정합니다.
(3) SST가 끝나게 되면 우리가 궁극적으로 측정할 검체를 분석합니다.
검체의 농도가 1000 mOsm을 넘는 경우에는 물로 검체를 n'/n 배 희석하여 (n->n')이 액을 가지고 같은 방법으로 측정합니다. (결과값에 따라 희석배수를 다르게 합니다.)
측정 시 결과값이 1000 mOsm에 근접하되 1000 mOsm을 넘지 않도록 하며, 근접할 경우 한 단계로 희석합니다.
(4) 교정, SST를 하고 검체 분석하여 출력된 Raw data값 모두 시험일지에 첨부합니다.
'QC품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QC업무. 환경모니터링_미생물파트 (0) | 2022.04.05 |
---|---|
KGMP (0) | 2022.04.05 |
QC 업무. 시험실 관리와 보관용 검체 관리 (0) | 2022.04.05 |
QA(품질보증) 업무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2.04.05 |
GMP 문서기록 & 교육보고서 (0) | 2022.04.05 |
댓글